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이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 범위를 계속 확장해 가고 있다. 노원구와 김포시, 성남시 등에서는 지역화폐로, 서울시와 하나은행 등에서는 신원인증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서울대학교 등에서는 투표에, 세계경제포럼과 제주도 등에서는 유통망에, 한국남부발전소와 파워렛저 등에서는 에너지 거래에 블록체인이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일반인들에게는 블록체인이란 개념 자체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지난 10일 ‘기술과 사람, 세상을 잇다’를 주제로 열린 Tech&Talk 콘서트에서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은 그 이유를 “많은 기관들이 블록체인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정작 블록체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블록체인은 ‘글로벌 신뢰 컴퓨터’
그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블록체인을 ‘분산원장’으로 소개하고 있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거래 참가자 모두에게 공유되는 ‘분산형 디지털 장부’라고 하며, 금융결제원은 ‘중앙 서버 없이 모든 작업을 처리하고 검증하는 기술’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장님이 코끼리 다리를 만지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박 센터장이 정의하는 블록체인은 ‘새로운 컴퓨터이자 네트워크’다. 즉 전 세계 컴퓨터를 하나로 모아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로직이 바로 블록체인이란 얘기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보안인데, 블록체인이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분산장부기술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결국 블록체인 플랫폼은 ‘글로벌 최고의 신뢰컴퓨터’인 셈이다.
박 센터장은 “1990년대 이후 컴퓨터가 생겨나면서 정보혁명으로 전자 문서가 일상이 되었다가 2015년 이후 블록체인 혁명이 일어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돌아가는 서비스가 창출되는 그런 세상이 도래하고 있다”며 그로 인해 TTP(Trusted Third Party),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없이 개인과 개인 간 또는 단말기와 단말기 간의 정보·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P2P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블록체인 생태계 안에서 사용되는 지불수단이 바로 ‘암호화폐’다. 때문에 디지털 자산의 가치 저장과 거래를 위해서는 암호화폐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박 센터장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블록체인 산업의 진흥을 위해서는 암호화폐 공개(ICO)를 허용하고 역기능 방지를 위한 규제를 만드는 정책을 펴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토큰 이코노미, 스마트도시 다층적 경제체계 가능
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 속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은 분권화된 네트워크로 스마트도시 인프라의 보안과 안정성을 보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조재우 한성대 교수는 “스마트도시에서 토큰 이코노미를 통해 블록체인이 진정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그가 말하는 토큰 이코노미는 블록체인을 통해 참여자들이 생산한 가치를 토큰에 담아내고(주조), 기여에 따라 토큰을 나누고(배분), 토큰을 활용해 다른 가치 또는 생산물과 교환하는(유통) 일련의 체계를 의미한다.
그 실례를 조재우 교수는 스팀잇과 귤토큰으로 들었다.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스팀잇에 올린 글의 보상으로 귤토큰을 받게 된다. 귤토큰(ORG)은 제주도에서 귤판매를 하고 있는 사업자가 발행한 것으로 귤과 1:1 교환을 보장한다.
조 교수는 “귤토큰으로 귤을 구매한 리뷰를 다시 스팀잇에 올리게 되면 리뷰에 대한 보상도 다시 귤토큰으로 주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는 중”이라며 “이런 귤과의 보장가치를 기반으로 제주도에서의 숙박, 레저와 같은 다른 사용처로도 확장이 시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블록체인과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하여 AI 자원을 공유하는 생태계를 구축한다면 스마트도시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인 공유경제와 구독(Subscription)경제 확산을 촉진할 수 있다는 주장도 했다.
블록체인을 통해 정보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높여서 시민들이 도시 운영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인할 수 있다. 또 스마트도시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가치를 블록체인을 통해 배분하고 공유함으로써 도시 생태계에 대한 시민들의 활발한 기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얘기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동체가 각자의 보완적 경제체제를 구축하도록 유인함으로써 경제 시스템의 다양성을 증진할 수 있다며 조 교수는 “무조건 블록체인과 토큰을 분리하기보다는 건전한 도입을 유도하여 다층적 경제체계를 지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김순강 객원기자
- pureriver@hanmail.net
- 저작권자 2019-05-1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