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2-03

온난화에 살판난 쥐떼…세계 대도시 곳곳서 폭발적 증가 미국 13개 도시와 토론토, 암스테르담, 도쿄 상대로 조사 워싱턴DC 390% 증가…런던·파리 등은 자료 제공 안해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에서 촬영된 쥐의 모습 ⓒ연합뉴스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에서 촬영된 쥐의 모습 ⓒ연합뉴스

지구 온난화로 겨울이 따뜻해지면서 주요 대도시들에서 쥐떼가 폭발적으로 늘었고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너선 리처드슨 미국 리치먼드대 교수 등은 이런 내용을 담은 연구논문을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 도시는 미국 도시 13곳과 캐나다 토론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일본 도쿄 등 총 16곳이었다. 이 도시들은 쥐 목격 신고나 쥐 방제 건수 등 관련 자료를 평상시에 공개하고 있거나 연구자들이 요청하면 집계해 제공한 곳들이었다. 런던과 파리 등 상당수 주요 대도시는 이런 자료를 아예 제공하지 않아 연구 대상에서 빠졌다.

제1저자 겸 교신저자인 리처드슨 교수는 "다른 곳에서는 상황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연구 대상 도시 중 최근 10년간 쥐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워싱턴DC로, 증가율이 390%에 달했다. 샌프란시스코(증가율 300%), 캐나다 토론토(186%), 뉴욕(162%) 등도 쥐가 많이 늘었다. 조사 대상 도시 16곳 중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오클랜드, 버팔로, 시카고, 보스턴, 캔자스시티, 신시내티 등 11곳에서 쥐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댈러스와 세인트루이스 등 2곳은 각각 소폭 증가하고 감소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없었고, 뉴올리언스, 루이빌, 도쿄 등 3곳에서는 쥐 수가 감소했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 도시들의 쥐 증가 추세에서 기온 상승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로 나타났다. 또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일수록, 그리고 녹지공간이 적은 도시일수록 쥐떼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대세와 반대로 쥐 수가 감소한 도시 3곳 중 감소 폭이 가장 큰 뉴올리언스에서는 쥐 창궐을 방지하는 요령에 대한 교육이 이뤄졌다고 리처드슨 교수는 영국 일간 가디언에 설명했다.

도쿄에서 쥐가 감소한 점은 문화적 규범과 청결함에 대한 기대가 높아 사람들이 쥐를 발견하면 곧바로 신고를 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는 추측도 내놨다. 쓰레기봉투가 찢어진 채 방치되거나 쓰레기 수거함의 뚜껑이 안 닫혀 있는 등 쓰레기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도시에서는 쥐들이 날마다 포식을 한다고 WP는 지적했다. 

많은 도시들은 쥐떼를 상대로 '전쟁'을 선포했으나 쥐떼의 창궐을 막지는 못하고 있다. 워싱턴DC는 시 차원에서 부동산 관리자들과 사설 방제업체 직원들에게 쥐잡기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개 주인들의 협조를 얻어 개가 쥐를 잡도록 시키기도 한다. 에릭 애덤스 뉴욕 시장은 '설치류 피해 감소 책임자'를 모집하는 공고를 내기도 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소재 사이먼 프레이저 케일리 대학교에 재직 중인 도시 쥐 문제 전문가 케일리 바이어스 조교수는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이런 종류의 연구는 처음"이라고 논평하면서, 온도 변화에 설치류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험실에서 생리학적 연구가 더 많이 나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2-03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