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3-01-10 ⓒ ScienceTimes 태그(Tag) #빨대 #셀룰로스나노크리스탈 #연구정보중앙센터 #종이빨대 #친환경 #친환경빨대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플라스틱 #한국화학연구원 관련기사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 중 재활용 소재로 만든 건 10% 미만"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소재로 만든 것은 전체의 10%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폐플라스틱 처리 방식은 소각이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매립은 계속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플라스틱 쌓여있는 인도 잠무 외곽 쓰레기 처리장 ⓒ연합뉴스 제공 중국 칭화대 취안인 탄 교수팀은 11일 과학 저널 커뮤니케 "전분 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동물실험서 건강 문제 유발" 전분 기반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이 생쥐에게 미치는 영향 실험. 연구팀은 생쥐를 전분으로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 미세입자에 3개월간 노출하는 실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간·난소 등 장기 손상과 혈당 수치 증가, 지질 대사 이상 등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 햇빛만 쐬어도 99.8% 소독…국내 연구팀, 친환경 마스크 개발 탄소나노튜브(CNT) 기반 친환경 마스크 개발 연구 이미지 ⓒ부산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에 쓰이는 탄소나노튜브로 햇빛만 쐬어도 99.8% 바이러스가 제거되는 친환경 마스크를 개발했다.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이형우 교수 연구팀이 성균관대, 고려대와 협력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롤 표면에 소재를 코팅하는 롤투롤(Roll-to "페트병 미세플라스틱, 남성 생식 발달 저하할 수 있어" 물병에서 물리적으로 마모된 PET-MP의 특성. (A) 다양한 배율의 PET-MP 주사 전자 현미경(SEM) 이미지. (B) PET-MP의 입자 크기 분포(부피 밀도, %). (C) 특정 크기 범위 내에서 PET-MP의 부피 비율 ⓒAdvanced Science 페트병 음료 속 미세플라스틱을 장기간 섭취했을 때 남성 생식 발달을 저하할 '차세대 건식 공정' 반도체 제조 첨단 기술 개발 열기반 건식 현상 포토레지스트 개발 ⓒ지스트 제공 국내 독자 기술을 활용해 기존 반도체 제조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친환경적이면서도 효율을 높인 차세대 제조 공정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은 17일 화학과 홍석원 교수 연구팀이 포항가속기연구소(PAL) 황찬국 박사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반도체 나노 미세 집적회로 “바다거북아 안심해”…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 나왔다 땅은 물론 바닷물에도 녹는 새로운 플라스틱이 개발됐다. ⒸRIKEN 전 세계 바다에는 171조 개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들이 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깊은 바다 밑바닥에 최대 1,100만t(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여 있다는 분석도 있다. 육지에 버려진 다량의 플라스틱이 비, 바람, 빗물 배수관 등에 의해 바다로 흘러 들어간 결과다. 방목하는 소에 해조류 보충제 먹였더니…"메탄 배출 40% 감소" 되새김질 가축의 메탄가스 배출량을 줄여주는 것으로 확인된 해조류를 펠릿 형태 보충제로 만들어 방목하는 소에게 먹이면 트림이나 방귀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40% 가까이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우리에서 사육되는 육우나 젖소보다 메탄가스 배출이 많은 방목하는 소를 대상으로 한 첫 해조류 실험이라며 이 결과는 해조류를 이용해 가축 플라스틱 협약 마지막 협상 일주일 앞…"상황 녹록지 않아" 환경운동연합, 국제 플라스틱 협약 촉구.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들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촉구하는 '휴먼 사인(Human Sign)'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2024.10.26 ⓒ환경연합운동 제공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협약을 마련하기 위한 마지막 협상이 일주 민들레 씨앗도 알아차리지 못한 실의 정체 ▲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이 개발한 초경량 센서는 두께가 머리카락보다 50배 이상 가는 실 형태로 착용자가 착용을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가볍다. ⓒNature Electronics 민들레 씨앗을 실로 둘둘 감아도 씨앗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잎을 살짝만 건드려도 움직이는 식물 미모사도 꿈쩍하지 않는다. 24일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2024년의 핵심 기술을 주목하라 세계 최대 정보기술 가전 전시회 CES 2024가 현지시간으로 지난 12일에 막을 내렸다. 예상대로 ‘AI’의 독무대였다는 평과 생성AI가 도입된 제품군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에는 아직 못 미쳤다는 분석이 함께했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지고 백 년도 지나지 않아 “Everything was AI, even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이 논문, 사람이 심사한 걸까?” AI가 바꾸는 과학 논문 심사의 미래 우주에서 만든 된장 맛은 어떨까? 안전한 땅을 위해서는 지하수를 지켜라 기후변화, 호주인의 심장 건강을 위협한다 일란성 쌍둥이들은 텔레파시를 주고받을까? 감성향초의 배신?…"환기 없인 '미세먼지 폭탄' 부를수도" 다양한 변이바이러스에 강력한 면역반응 유도 백신 플랫폼 개발 ETRI, 신소재 '그래핀' 이용해 빛에 따라 변하는 투명필름 개발 “어서와 과학 팝업은 처음이지?” 과학과 팝업이 만든 놀이문화 ‘별별잡화점’ "야간 근무자 심혈관질환 위험, 낮에만 식사하면 낮출 수 있어" 속보 뉴스 GIST, 물체 인식 정확도 높이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항암치료 방해하는 세포만 골라 제거하는 면역항암제 개발 UNIST "전자피부에 '복제 불가능' 인공지문 새긴다" 디지털 치매?…"디지털기기 사용,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 낮춰" 우주에 탄소질 소행성 많은데 지구에 운석이 드문 이유는? 철 함유 점토광물을 이용한 독성 오염물질 제어 메커니즘 규명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