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 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다누리가 드디어 5일 오전 8시경에 발사될 예정이다. 다누리는 발사 40분 뒤인 오전 8시 50분경 발사체로부터 분리되어, 이어 오전 9시 8분경 지상국과 최초 교신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다누리가 목표한 달 전이 궤적 진입했는지는 발사로부터 5-6시간 후인 오후 1-2시경에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누리, 2022 네이처 선정 주목할 만한 과학 이슈
최초의 한국형 달 탐사선(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은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2022년 5월, ‘다누리’라는 이름을 받았다. 대국민 명칭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다누리’는 순우리말인 ‘달’과 ‘누리’가 더해진 이름으로, 달을 남김없이 모두 누리고 오길 바라는 염원을 담았다.
한국의 우주탐사 기반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된 다누리는 국제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에서 2022년 주목할 과학 이슈로 다누리를 선정하기도 했다. 또한 NASA와의 공동 임무를 수행하고 세계 최초로 우주 인터넷 장비를 활용한 심우주 탐사용 우주 인터넷시험(DTN, Delay/Disruption Tolerant Network)이 시도되는 등 여러 획기적인 임무를 띠고 있다. 교신 시험에서는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노래 ‘다이너마이트(Dynamite)’가 달에서 재생될 예정이다.
한국의 달 탐사 염원을 담은 다누리, 준비완료!
다누리는 스페이스 X사의 팰컨 9 발사체 (Falcon 9-5500, Space-X)dp 탑재되어 발사될 예정이다. 본래 8월 3일 발사 예정이었으나 스페이스 X사에서 팰컨 발사체 점검 과정에서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며 연기를 알렸다. 이틀의 연기로 5일 금요일 오전 8시 8분 경(현재 시각 8월 4일 오후 7시 8분) 발사를 앞두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로 이송된 다누리는 한 달간 기능점검, 연료주입, 발사체와 조립 등 사전 작업을 모두 성공리에 완료했다. 현재 다누리는 모든 발사 준비를 완료 후 군 기지 내의 조립 시험동에서 팰컨 9 발사체에 탑재된 채로 대기 중이다.

발사 후 약 4개월간 달을 목적지로 항행한 다누리는 달 상공 100km의 원 궤도로 진입 후, 2022년 12월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임무궤도를 하루 12회 공전하며 달 관측 및 과학기술 임무를 수행하고, 안테나를 통해 관측 데이터를 지구로 수신할 예정이다. 임무에는 달 표면 지형 촬영 및 탐사, 우주환경조사 및 우주인터넷 검증 등이 포함된다.
다누리 발사 실시간 생중계, 타임라인은?
다누리의 발사과정은 5일 오전 9시경 국립과천과학관(www.youtube.com/user/gnsmscience), 한국항공우주연구원(https://www.youtube.com/watch?v=st6Uejg-HRs) 등에서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국립중앙과학관에서도 8월 2일부터 10월 3일까지 다누리의 성공적인 항해와 탐사를 염원하는 달 탐사 특별전을 통해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예정이라 밝혔다.

다누리는 발사 약 40분 뒤인 오전 8시 50분경 발사체에서 분리될 예정이다. 1단 및 2단 분리와 페어링 분리를 거친 팰컨 9 발사체는 지구 표면에서 약 1,656km 떨어진 지점에서 다누리를 놓아준다. 이어 20분 뒤인 오전 9시경 다누리와 지상국의 최초 교신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발사로부터 5-6시간이 지난 오후 1-2시경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다누리가 목표한 달 전이궤적 진입했는지 성공 여부를 밝힐 예정이다.

다누리의 탐사는 우리 스스로 임무를 설계하고 독자적인 과학임무 탑재체를 개발해 대한민국 우주탐사의 첫 장을 우리 손으로 펼친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2030년경 이루어질 우리나라 달 착륙선을 위한 기반을 닦는 작업이라는 것과, 우리만의 우주개발 데이터를 확보한다는 의의가 크다. 다누리를 시작으로, 달 탐사와 우주 탐사에 열을 올리는 국제 추세에 발맞추어 세계의 연구자와 우주 탐사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김미경 리포터
- 95923kim@naver.com
- 저작권자 2022-08-0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