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하루 2개의 소시지 섭취, 제2형 당뇨병 위험 15% 증가시킨다 가공육 섭취와 당뇨병의 연관성, 건강한 식단 전환 시급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가공육 섭취와 당뇨병의 연관성

하루에 햄 2조각을 섭취하는 것만으로 제2형 당뇨병 위험을 15% 증가시킬 수 있다는 국제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되었다. 이 연구는 전 세계 31개국의 총 197만 명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가공육 섭취가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하루에 햄 2조각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제2형 당뇨병 위험이 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etty Images

가공육(processed meat)은 고기의 맛을 개선하거나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소금, 방부제, 다양한 화학 첨가물로 처리를 하는 염장, 염지, 훈제 및 발효 등의 과정을 거친 육류를 말한다. 가공육 제품으로는 베이컨, 햄, 소시지, 살라미, 스팸, 통조림 고기 등이 있다. 참고로 가공육에 대한 정확한 역사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대 이집트에서도 염장한 고기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고 알려져 있다.

가공육에 대한 정확한 역사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대 이집트에서도 염장한 고기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고 알려져 있다. ©GettyImages

연구 결과에서는 특히 고지방 식단이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하는 독성 분자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혔는데, 가공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인체 내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공육 섭취가 비만이나 BMI와 무관하게 당뇨병 위험을 크게 높이는데, 이는 체중 관리만으로는 당뇨병 예방에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는 가공육에 포함된 고농도의 나트륨, 아질산염, 다양한 보존제가 인체의 대사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물질들은 체내 염증 수준을 높이고, 인슐린 기능을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혈당 조절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건강한 식단으로의 전환 필요성

이번 연구는 각국의 다양한 식습관과 생활 방식을 고려하여 분석되었는데, 연구 결과 가공육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당뇨병 발병률이 현저히 높았다. 연구진은 가공육 섭취를 줄이면 당뇨병 위험을 10% 낮출 수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단순한 식습관 변화만으로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가공육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당뇨병 발병 위험도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가공육 섭취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것만으로도 건강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연구는 단순한 식습관 변화만으로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GettyImages

연구진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포화지방이 풍부한 가공육과 적색육류 섭취를 줄이고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이 건강에 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식물성 식단은 과일, 채소, 견과류, 통곡물로 구성되며 이러한 식품들은 항산화 물질과 섬유질이 풍부하여 염증을 줄이고 혈당 수치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식물성 단백질 섭취도 중요하다. 콩, 렌틸콩, 병아리콩 등의 콩류와 견과류는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이면서도 포화지방 함량이 낮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식품들은 비타민, 미네랄, 그리고 다양한 식물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당뇨병 증가 추세

이번 연구 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 당뇨병 환자 수는 1980년 1억 800만 명에서 2014년 4억 2,200만 명으로 거의 4배 증가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당뇨병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식습관 개선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당뇨병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식습관 개선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 Getty Images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식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고 주장하며 “가공육 섭취를 줄이고 건강한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는 등 균형 잡힌 식단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식습관 개선과 함께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 등 전반적인 생활 습관 개선의 중요성도 함께 언급한다.

 

당뇨병의 위험성과 예방

당뇨병은 한번 발병하면 완치가 쉽지 않고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는 만성질환이다. 특히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시력 손상 등 여러 합병증이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전문가들은 식습관 개선과 함께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 등 전반적인 생활 습관 개선의 중요성도 함께 언급한다. ©GettyImages

따라서 당뇨병 예방을 위해 건강한 식단을 구성해야 한다. 건강하고 계획적인 식단을 위한 방법으로는 가공육 섭취를 최소화하고, 이를 생선이나 식물성 단백질로 대체하며 과일, 채소, 통곡물 등으로 식이섬유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 섭취를 줄이고, 불포화지방(올리브유, 견과류 등)의 섭취를 늘려야 한다. 설탕이 첨가된 음료 대신 물이나 무가당 차를 선택하며 알코올 섭취를 제한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연구진은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정책적 접근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가공육에 대한 경고 라벨 부착이나 세금 부과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이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가공육에 대한 규제 강화, 건강한 식품에 대한 접근성 향상, 영양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이 필요하다.

당뇨병 예방을 위한 식습관 개선은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건강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 예방은 단순히 개인의 건강 문제를 넘어 사회 전체의 과제가 될 수 있다. 이에 정부, 의료계, 식품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다.

 

관련 연구 바로 보러 가기

1) Meat consumption and incident type 2 diabetes: an individual-participant federated meta-analysis of 1·97 million adults with 100 000 incident cases from 31 cohorts in 20 countries (육류 섭취와 제2형 당뇨병 발생: 20개국 31개 코호트에서 10만 건의 발병 사례가 있는 성인 1억 9700만 명을 대상으로 한 개인 메타 분석), Li Chunxiao et al. 2024 

2) High-fat feeding drives the intestinal production and assembly of C16:0 ceramides in 40 chylomicrons (고지방 섭취는 40개의 킬로미크론에서 C16:0 세라마이드의 장내 생산을 촉진한다) Michael SM Mah et al. 2024

김민재 리포터
minjae.gaspar.kim@gmail.com
저작권자 2024-09-04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