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상압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폐목재 성분인 리그닌을 지속가능항공유(SAF)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이웅희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값싼 공정으로 리그닌에서 추출한 바이오매스를 SAF 원료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리그닌은 폐목재나 볏짚 같은 식물성 바이오매스에 풍부한 성분으로 탄소 함량이 높고 대량 확보가 가능해 친환경 연료인 SAF를 추출하는 석유 대체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리그닌에서 추출한 오일은 산소 함량이 높아 고온·고압 환경에서만 연료로 전환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부산물이 많아 실제 생산에 어려움이 따랐다.
연구팀은 복잡한 탈산소화 공정 대신 상온과 상압에서 리그닌 오일을 안정적으로 반응시켜 원료를 추출할 수 있는 전기화학 기술을 개발했다.
리그닌 오일이 전기화학 반응에 더 잘 반응하도록 전해질 안에서 움직이는 원리를 분석하고 친수성 및 소수성 성분이 전극과 닿는 방향을 조절해 목표하는 물질로 전환되는 효율을 높였다.
그 결과 전류 효율이 10%에서 60% 이상으로 높아졌고 연료 전환율도 98%까지 높아졌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폐자원을 친환경 항공연료로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적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전기화학 기술을 이용한 SAF 생산을 위한 기술 발전에 역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1월 21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ACS)에 실렸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4-28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