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2-21

UNIST "목재 폐기물로 해수전지용 고성능 촉매 개발" 값싼 리그닌·요소 기반…백금 촉매와 유사한 성능 보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해수전지의 구조(왼쪽)와 개발된 촉매의 구조(오른쪽)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해수전지의 구조(왼쪽)와 개발된 촉매의 구조(오른쪽)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바닷물로 전기를 저장하고 꺼내 쓸 수 있는 해수전지 상용화를 위한 값싼 촉매 물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목재 폐기물에 요소를 첨가해 해수전지용 고성능 촉매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촉매는 해수전지에 걸리는 과전압을 낮추고 전기를 빠르게 꺼내 쓸 수 있게 반응 속도를 높여 주는 물질이다. 

기존에는 백금과 같은 고가의 물질을 촉매로 썼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저렴한 리그닌과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리그닌은 목재의 15∼35%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종이를 만드는 공정이나 바이오 연료 생산 과정에서 남는 부산물이다. 산업 폐수에 주로 있는 요소는 질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리그닌을 800도에서 태운 뒤 요소와 같은 온도에서 반응시키면 리그닌 구석구석 질소가 첨가돼 고성능 촉매가 만들어진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리그닌을 구성하는 특정 탄소 원자 자리에 대신 들어간 질소는 방전에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이 촉매를 해수전지 전극에 입혀 실험한 결과 백금 촉매와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과전압은 백금 촉매보다 더 낮은 값을 보였다. 과전압이 낮을수록 충전시킨 전기에너지 중 방전으로 뽑아 쓸 수 있는 에너지 비율이 높다. 방전 속도와 관련 있는 지표인 최대 전력 밀도는 백금 촉매에 근접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동욱 교수는 "고가의 귀금속 촉매를 대체할 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와 산업 폐기물의 가치를 극대화한 탄소중립적 접근법을 제시했다"며 "금속-공기 배터리 등 다양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월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 참고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5), N-doped carbonized lignin for electrocatalysts in seawater batteries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385894725000178?via%3Dihub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2-21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