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3-03-07 ⓒ ScienceTimes 태그(Tag) #MIT #금속 #미래기술 #바이오테크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 #주목할 기술 관련기사 UNIST "개인정보 보호하며 고품질 콘텐츠 생성 AI 모델 개발"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셀카'와 같은 개인정보가 포함된 민감 데이터를 서버로 직접 보내지 않고도 고품질 이미지 등 콘텐츠 생성을 돕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유재준 교수팀은 연합학습 AI 모델인 '프리즘'(PRISM&mi 더 가볍고 잘 휘어지는 탠덤 태양전지 개발…'최고 효율' 왼쪽부터 연세대 김해진 교수, 에너지연 정인영·김기환 박사, 경상국립대 이태경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세계 최고 효율의 가볍고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태양전지를 겹쳐 만든 전지)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CIGS는 구리&m 경기도 GRRC 성균관대 연구팀, 차세대 AI 반도체 기술 개발 차세대 AI 반도체 기술 구조도 ⓒ경기도 제공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에 참여한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김형섭·김영훈 교수팀이 빛을 활용해 정보처리 능력을 높인 차세대 AI(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들 교수 연구팀은 주로 전기신호만을 이용해 정보를 처리하는 AI 반 "마비환자의 생각을 즉시 말로…실시간 음성변환 장치 개발" 뇌졸중으로 18년간 말을 못 한 사지마비 환자가 말하는 생각을 할 때 일어나는 뇌 활동 신호를 해석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변환해 자연스럽게 말하는 것처럼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개발됐다. 생각을 즉시 음성으로…'뇌 언어활동 실시간 음성전환 장치 개발' 미국 연구팀이 뇌졸중으로 18년간 말을 못 한 KAIST, 중적외선 영역에서도 고성능 낼 수 있는 광소자 제작 중적외선 영역에서 고성능 브릴루앙 레이저 광원 구현 기술 개념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한석 교수팀은 호주국립대 최덕용 교수, 예일대 피터 라키치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 고광훈 박사, 중국 닝보대학교 롱핑 왕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중적외선 파장 대역에서 고성능 광원인 '브릴루앙 레이저'(Brillo 아주대 연구팀 "데이터 학습·분류 가능한 지능형 신소자 개발" 실제 소자 사진 ⓒ아주대 제공 아주대는 본교 연구팀이 데이터 학습과 분류가 가능해 머신러닝 기반 연산과 센서 신호 처리에 활용될 수 있는 지능형 신소자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아주대에 따르면 서형탁 첨단신소재공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와 쿠마모히트 동 대학원 교수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신소자는 기존의 반도체 한번 충전으로 폭발 위험 없이 1천㎞ 가는 배터리 나오나 연구진 모습. UNIST 이현욱 교수(왼쪽)와 제1저자 김민호 박사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한번 충전으로 폭발 위험 없이 최대 1천㎞를 갈 수 있는 차세대 장거리 주행 배터리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이 배터리 양극 신소재인 과리튬 소재의 산소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 전기차용 리튬배터리 급속충전 시간 30분→15분으로 줄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최남순·홍승범 교수 공동 연구팀이 리튬이온 배터리의 리튬이온 이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해질 용매 '아이소부티로니트릴'(isoBN)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전기차 등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크게 양극과 음극, 액체 전해질로 구성된다. 기존 전해질 용매로 쓰이는 에틸렌 카보네이 "사지마비 남성, 동작 상상만으로 로봇팔 마음먹은 대로 제어" 인공지능(AI)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마비 환자의 로봇팔 제어 과정. (F)사지마비 환자가 인공지능(AI)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이용해 동작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로봇팔·손을 조작하는 훈련을 하는 모습. (G)로봇팔을 뻗어 물건을 잡아 옮긴 다음 돌려서 내려놓는 동작. (H)로봇팔을 뻗어 벽에 놓인 물건 UNIST "원통형 배터리, 전극 곡률만 바꿔도 성능 개선" 왼쪽부터 제1저자 전병진 연구원, 정경민 교수, 이영현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원통형 배터리 설계에서 전극 곡률(곡선이나 곡면의 구부러진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중요한 설계 변수라는 사실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밝혀냈다. UNIST는 에너지화학과 정경민 교수팀이 원통형 배터리 전극의 곡률이 전기화학적 성능에 미치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지브리 스타일’에 놀란 챗GPT, 챗GPT에 화난 지브리 심리학자들이 밝혀낸 연애에서의 '정뚝떨' 현상 더우면 더 빨리 늙는다 '힙한' 과학이 온다··· 4월 과학의 달 기념 홍보 팝업 '별별잡화점' 햇빛만 쐬어도 99.8% 소독…국내 연구팀, 친환경 마스크 개발 UNIST "공기 중 바이러스 유무, 30분만에 확인…감염력도" 韓연구진, mRNA 백신 작동원리 최초 밝혔다…"치료효과 높일 단초" 전남대 연구팀, 차세대 점막 백신 기술 개발…"폐렴구균 차단" "달 먼지로 태양전지 만든다…미래 우주탐사 에너지원 기대" 우주에서 만든 된장 맛은 어떨까? 속보 뉴스 기계硏, 수소 충전 중 온도 상승 방지 기술 개발…경제성↑ 산불 뒤 극한강우 어쩌나…산사태 위험 2.5시간 안에 예측 UNIST "개인정보 보호하며 고품질 콘텐츠 생성 AI 모델 개발" 생쥐 뇌세포 구조·연결 보여주는 고해상도 배선 지도 완성 "전분 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동물실험서 건강 문제 유발" 다양한 변이바이러스에 강력한 면역반응 유도 백신 플랫폼 개발 감성향초의 배신?…"환기 없인 '미세먼지 폭탄' 부를수도"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