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글을 자동으로 채점하고 참석할 수 있는 가칭 'K-로봇' 개발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K-로봇은 국어 능력 가운데 글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일종의 도구 체계다.
국립국어원이 2018년 분석한 '국민의 국어능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어 능력 수준을 1∼4 등 4개 척도로 나눴을 때 쓰기 능력이 보통 수준 이하에 해당하는 1∼2 수준은 69.6%에 달했다.
해외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해 글을 자동으로 채점하고 첨삭하는 프로그램이 이미 개발돼 있다.
이에 국립국어원은 올해부터 'K-로봇' 개발 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우선 공신력을 갖춘 글쓰기 진단 지표를 개발한 뒤, 자동 채점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한다.
또한 전문성을 갖춘 채점 인력을 양성하고 대규모 글쓰기 진단 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런 체계를 활용하는 게 'K-로봇'이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글쓰기 진단체계가 운영되면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체계적인 교육과 신뢰도 높은 평가가 가능하며 향후 공공기관과 기업체의 인재 선발·교육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올해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만든 진단 지표와 세부 내용을 정교하게 다듬을 예정이다.
아울러 경상국립대, 부산대, 서울대, 인천대 등 국내 국공립대학 9곳과 함께 학생들이 각 쟁점에 따라 논증 방식으로 쓴 글쓰기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계획이다.
대규모 글쓰기 진단 체계는 2026년 이후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장소원 국립국어원장은 "'K-로봇'이 개발되면 국민의 논리적 사고력, 소통력 등 전반적인 국어능력이 향상될 것"이라며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협약기관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3-02-10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