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정보통신기술
김은영 객원기자
2020-07-09

“코로나19 닮은 ‘사이버 팬데믹’ 시대 온다” 지능형 악성코드, K-사이버 방역으로 대처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지능형 악성코드’의 형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사태 이후 사이버 보안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문가들은 사이버 보안 이슈가 코로나19 사태와 같이 전 세계로 퍼지는 ‘사이버 팬데믹’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에 대한 국제적 해결방안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정수환 한국정보보호학회 회장은 “코로나19와 악성코드는 은밀하게 침투하고 복제 및 변종이 잦다는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며 “‘K-방역’으로 성공한 것처럼 ‘K-사이버 방역’의 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9회 정보보호의 날을 맞아 ‘2020 정보보호컨퍼런스’를 개최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코로나19는 닮은 복합 악성코드 등장 우려

지난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울 강남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020 정보보호 컨퍼런스-비대면 시대의 DNA(Data Network AI)’에서 정수환 한국정보보호학회 회장은 코로나19를 닮은 악성코드의 등장을 경고했다.

코로나19는 악성코드의 형태와 닮았다. 코로나19의 특징 중 침투성은 ‘인터넷 웜(Internet Worm)’이나 ‘이메일 피싱’의 형태에서 잘 드러난다. 은밀하게 전파하는 과정은 트로이목마와 지능형지속위협(APT) 공격과 유사하다.

코로나19와 악성코드는 유사한 특성이 많이 발견된다. ⓒ 게티이미지뱅크

무엇보다 지능형 악성코드가 코로나19와 같이 진화하고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코로나19의 변이 및 변종의 문제점은 암호형 바이러스와 비슷하다.

형태만 비슷한 게 아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불행하게도 전 세계 해커들에게 거대한 기회로 작용했다. 코로나19 사태는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큰 사건이었다. 사람들이 코로나19에 쏠린 관심은 해커들의 미끼가 됐다.

최근 경찰청 조사에 따르면 올해 랜섬웨어 공격은 18만여 건. 이중 두 달간 코로나19 악성메일만 7만 3000건에 달했다. ‘실제 환자 수’, ‘백신’ 등 코로나19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문구를 넣어 배포된 악성 문자메시지도 석 달간 63만 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는 국제적으로 해커들의 침입을 손쉽게 만들었다. 첫 번째 기조강연을 맡은 미국 국토안보부(CISA) 사이버 보안 담당(차관보)인 브라이언 웨어(Bryan S. Ware) 부국장도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해커들의 공격이 성공하고 있다"며 코로나19와 사이버 보안과의 연관 성을 언급했다.

브라이언 웨어(Bryan S. Ware) 미국 국토안보부(CISA) 부국장은 “코로나19를 극복하는 길은 국제적인 협력으로 사이버 보안에 힘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더 심각한 것은 코로나19와 같이 악성코드가 진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수환 회장은 코로나19 이후 사이버 악성코드가 더욱 증가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모양의 복합 변종 악성코드의 등장을 경고했다.

그는 “이제까지 모든 복합적 코드를 가진 악성코드는 없었다. 그런데 이제 코로나19와 같이 복합적인 양상을 가진 악성코드가 제작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우려했다.

이러한 악성코드 방지 및 치료를 위해서는 전 세계가 협력해야 한다. 브라이언 웨어 부국장은 "현재 해커들이 코로나19 연구소를 공격하고 있다"며 "이에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와 협력해 보안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컨퍼런스로 열렸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기적 관점에서 AI 통제센터 만들어야

코로나19로 급속하게 비대면 사회로 전환됨에 따른 사이버 보안 대응책도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학생들의 온라인 개학에 따른 학교 출결석 관리, 전자시험 시행 시 부정행위 방지,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취약점 관리나 재택근무 확대에 따른 회사 자료 외부 유출 방지 및 단말의 취약성을 이용한 단말 정보 탈취 문제 등 다양한 가상환경에서의 안정성 보장이 필요하다.

비대면 의료 진료 시행이 진행되면 환자 정보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시스템 해킹이나 환자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문제를 어떻게 방지하고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대책도 필요하다.

정수환 한국정보보호학회 회장이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 회장은 코로나19와 같은 복합적 특징을 가진 악성코드가 전 세계 유행을 주도할 ‘사이버 팬데믹’을 경고했다. 이러한 사이버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K-사이버 방역’이 유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코로나19와 닮은 악성코드의 방역도 ‘K-방역’과 같이 ‘분석-진단-치료’의 과정을 빠르게 다룰 수 있는 AI 기반의 악성코드 해킹 탐지 모니터링 및 분석 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며 “이러한 통제 시스템을 빨리 개발해 앞으로 도래할 ‘사이버 팬데믹’ 사태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영 객원기자
teashotcool@gmail.com
저작권자 2020-07-09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발행인 : 조율래 / 편집인 : 김길태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길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