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남북정상 회담 개최 이후 경제협력을 비롯한 남북 간의 민간 차원 교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남북 간의 과학기술교류협력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최근 남북 과학기술 협력의제를 발굴하고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9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한반도 공동번영을 위한 남북과학기술 협력’을 주제로 남북 과학기술교류협력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서 농업, 지질학, ICT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은 “남북통일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남북교류협력사업에서 과학기술의 역할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남북 농업과학기술 교류협력 방향은?
남북 간 교류협력에서 가장 큰 활약이 기대되는 것은 농업과학기술이다. 박효근 서울대 명예교수는 “현재 북한의 농업 현황은 매우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 농업과학기술의 협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 과정은 순탄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박 교수는 “북한은 스마트팜이나 생명공학기술, 수직 농장 등 주로 최첨단 과학기술을 요구할 것이고, 남한은 북한의 심각한 식량난 해소를 위한 농업기술을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조율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교수는 “따라서 대증요법이나 1회성 전시효과만 노리는 사업은 지양해야 한다”며 “무조건 최첨단을 원하는 요구에 현혹되어 북한의 농업 현실에 맞지 않는 농업기술을 협력하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으므로 북한의 경제발전과 농업 발전 단계에 알맞은 농업과학기술을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제는 그동안 북한의 폐쇄 정책으로 인해, 농업에 관한 정확한 통계를 구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박 교수는 “북한 농업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2년부터 8차례 방북을 했지만 농과대학 교수는 단 한 명도 만나지 못했다”며 “북한도 농업 부분의 과학화를 매우 강조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전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은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이어진 ‘고난의 행군’ 기간 동안 최소 60만 명에서 최대 300만 명까지 굶어죽는 역사상 가장 참혹한 일을 겪었다. 지금은 많이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UN이 정한 식량 부족 국가에 해당된다.
이에 대해 박 교수는 “북한이 식량 위기를 겪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다양하다. 구소련 체제의 붕괴로 원유 도입이 급감했고, 비료와 농약, 물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데다 홍수와 가뭄 같은 자연재해가 빈발했기 때문”이라며 “북방지대에 적응 가능한 품종을 고르고 그에 맞는 최적의 재배기술을 제공한다면 북한의 식량난을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자원과 ICT 협력거점 구축해야
고상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반도광물자원개발융합연구단장은 “북한에는 금, 은, 철, 동, 아연 등 금속과 마그네사이트, 인상흑연과 같은 비금속, 그리고 탄탈륨과 희토류 등 희귀 자원이 많다. 때문에 북한의 자원과 남한의 기술이 만나면 우리는 얼마든지 자원기술강국이 될 수 있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고 단장은 구체적 협력방안으로 ‘탐사와 부존량 평가, 채광, 선광, 제련, 소재화 등 광물자원개발과 관련된 과학기술적 협력’, ‘철, 동, 아연 같은 전략광물자원을 중장기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경제적 협력’을 언급하며 “마그네사이트와 흑연주철, 희토류 자석 등을 바탕으로 신산업 창출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남북한 ICT 협력방안을 강조했다.
그는 “올해 신년사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주체적인 생산공정 확립과 자립경제에 필요한 연구를 강조하는 등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하지만 북한도 빈부격차가 곧 정보격차로 이어지고 있다. 때문에 이를 해소하고 따뜻한 디지털 세상을 만들기 위해 점진적인 남북 과학기술계의 직접 교류와 협력 거점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김순강 객원기자
- pureriver@hanmail.net
- 저작권자 2018-11-1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