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에서 2000년 된 로마 사원 단지가 발견되다
6월 25일, 네덜란드 당국은 네덜란드 고고학자들이 2000년 된 새로운 로마 사원 단지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고고학자들은 기와지붕과 밝게 칠해진 벽이 있는 언덕에서 거대한 갈로-로마 사원(Gallo-Roman temple)의 복합단지를 발견했다.
특히, 두 번째 발견된 사원은 첫 번째 발견된 사원에서 몇 미터 떨어져 있었으며 다소 작은 크기의 사원이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이 사원들은 로마 군인들이 중요하고 경건한 모임을 열 때 이용되었을 것으로 예측했다. 로마 군인들이 그들의 신과 여신들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만든 사원의 유적으로 분석된다. 위 발견은 매우 특이한 발견으로 여겨지는데, 그동안 네덜란드에서 이처럼 완전한 복합단지가 발견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위 발굴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네덜란드의 중동부 겔더란트(Gelderland) 지방에 위치한 헤르윈-헤멜링 마을(Herwin-Hemeling: 네덜란드-독일 국경에서 가까움)에서 수행되었다. 발견에 참여한 고고학자들은 사설 고고학 컨설팅 회사 RAAP 소속이며, 이들은 이미 로마인들이 위 지역에 정착했었음을 예측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들은 2021년에 이미 유물 일부를 위 지역에서 발견했기 때문이다. 2021년의 발견을 기반으로 이들은 네덜란드 국립 문화유산 기관에 더 큰 발굴을 촉구하게 되었으며 마침내 거대한 사원 단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로마는 기후가 좋은 지역만 지배했다?
로마는 처음에 남쪽으로만 영토 확장을 시도했다. 하지만 기후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북쪽으로도 진격하기 시작했다. 로마는 서기 117년 정도에 가장 넓은 영토를 자랑하고 있었는데, 이때에도 기후가 좋은 지역만 지배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영국에서도 잉글랜드 부분만 지배하고 있었으며 이탈리아를 포함한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등의 남유럽, 아프리카 중 북부, 아시아 중 터키 땅을 포함한 서부만을 지배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서유럽에서는 날씨가 좋다고 여겨지는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 지역만 완벽히 지배하고 있었으며, 북부 독일과 네덜란드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토를 가지고 지배하고 있었다.
새로 발견된 사원은 로마의 영토로 예측되는 땅에서 경계 부분에 해당한다. 위 지역은 로마 제국의 최북단 영토에 속하는 지역이기에 의미 있는 유적지 발굴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기 쉽지만, 위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로마 라임(Limes Germanicus)이 근접해 있는 지역이다.
다양한 유물들과 봉헌석들이 발견되다
네덜란드 문화재청에 따르면 발굴 현장에서 신상, 부조, 회반죽 등의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며 여러 신과 여신에게 바치는 여러 개의 완전한 봉헌석을 발견했다고 한다. 네덜란드 당국은 위 발견이 네덜란드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매우 이례적인 것이라고 전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로마의 본토에서 다소 멀리 떨어진 위 지역에서 거주했던 군인들이나 고위 관리들은 날씨가 좋지 않은 북부 지역에 머무는 것만으로도 감사를 표하며 기도를 할 이유가 충분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로마 군인들은 대략 1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작은 제단인 봉헌석을 세웠으며, 이 봉헌석은 바타비(Batavi)족의 지배자 신인 헤르쿨레스 마구사누스(Hercules Magusanus)에 경의를 표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또한 제우스 (Zeus, 로마신화 명: 유피테르 Jupiter)과 그리스와 이집트의 신으로 알려진 세라피스(Serapis), 그리고 전령의 신인 메르쿠리우스 (Mercurius, 그리스 신화 명: 헤르메스)를 숭배하기 위한 봉헌석도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로마 군인들이 만든 깊은 구덩이 및 여러 문양이 새겨진 기와, 채색된 이미지로 장식된 회반죽 및 기타 부서진 석회암 조각 등의 잔해도 발견했다. 또한, 전투 갑옷, 말 마구, 창 및 창과 같은 여러 군사 물건도 발견했다.
이러한 새로운 발견을 바탕으로 네덜란드 국립 문화유산 기관은 더 큰 규모의 유물 발견 가능성을 당국에 알렸으며, 발견된 일부 유물들은 네덜란드 니메겐(Nijmegen)의 지역 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 김민재 리포터
- minjae.gaspar.kim@gmail.com
- 저작권자 2022-07-0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