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nrepo/uploads//2021/12/4123123432-480x270.jpg)
눈 내리는 들판에 한 병사가 돌을 하나 가져다 놓는다. 잠시 후 돌은 살아 움직이기 시작한다. 위로는 잠망경 모양의 카메라를 내밀더니, 아래쪽으로는 작은 궤도도 내민다. 그리고 마치 전차처럼 궤도를 돌려 스스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목적지에 도착한 이 돌은 자세를 낮추고, 잠망경 카메라만 내놓고 주변을 살피기 시작한다.
이는 무슨 공상과학 영화 속에 나오는 장비가 아니다. 러시아의 주코프스키-가가린 공군 사관학교 산하 군사 교육 과학 본부에서 사관생도들이 3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한 정찰 로봇, 이른바 ‘스파이 스톤’의 활동 모습이다. 스타워즈의 R2-D2 로봇, 원격 조종식 장난감 전차, 그리고 야전에서 너무나도 흔하게 볼 수 있는 돌을 합쳐 놓은 듯한 모습이다.
아직은 시제품만 존재하는 ‘스파이 스톤’이지만, 실전에서의 실용성은 꽤 높다고 평가되고 있다. 동영상과 음성 녹화가 최대 15시간 동안 가능하고,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최대 2km 떨어진 원격 조종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는 모션 센서에 의해 작동되므로, 쓸 데 없는 데이터 녹화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녹화 시작 전 약 24시간의 휴지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개발자들에 따르면 이 로봇은 전선이 고착되고 참호를 비롯한 고정식 방어 시설이 늘어나는 저강도 분쟁에서 유용하고 안전한 정찰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양군 사이의 무인지대나, 적의 참호 속으로까지 침투해 적정을 살피고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크기와 소음이 작고, 외형도 돌과 같아 정찰기(유무인을 막론하고)보다 위장 효과도 높다. 마침 현재 러시아 국방부는 참호전 및 시가전 역량 배양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한, 러시아는 실전에 로봇을 투입한 경험이 이미 풍부하다. 러시아군은 투척식 정찰로봇 ‘스페라’ 등을 이미 운용하고 있다. ‘스파이 스톤’의 개발에는 그러한 경험이 많이 녹아들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파이 스톤’의 단점으로는 야외에서 마주칠 수 있는 다양한 장애물을 극복하기에는 너무 작은 궤도와 비교적 짧은 전파 통달거리 등이 있다. 2km 정도의 통달거리면 적 박격포의 유효 사거리 내에 위치한다. 게다가, 적에게 발각될 경우 매우 쉽게 격파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실용화된다면 적에게 상당한 심리적 타격까지 안길 수 있는 장비가 될 수 있다. 돌은 자연세계에 얼마든지 존재하고, 병사들이 모든 돌이 적의 스파이 장비라고 생각하게 된다면 그만큼 주의가 분산되기 때문이다.
- 이동훈 과학 칼럼니스트
- enitel@hanmail.net
- 저작권자 2021-12-1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