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봉 객원기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7 건 찾기 내용 지우기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10-12 암컷 쥐만으로 출산 성공 동성인 부모 사이에서 탄생한 쥐들이 탄생해 이미 어른이 됐으며, 또한 생식 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세계적인 화제가 되고 있다. 12일 ‘인디펜던트’, ‘가디언’, ‘뉴스위크’ 지 등에 따르면 중국과학원(CAS) 과학자들이 두 마리의 엄마 쥐로부터 29마리를 얻었으며, 이들 쥐들은 어른 쥐로 성장해 또 다른 새끼를 낳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CAS 과학자들은 줄기세포‧유전자편집 기술을 활용해 두 마리의 엄마 쥐, 두 마리의 아빠 쥐 사이에서 새끼 쥐를 얻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두 마리의 아빠 쥐 사이에서 탄생한 쥐들은 출산 후 이틀이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모두 죽어, 암수 간의 차이를 드러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09-18 사람 눈으로 유령을 볼 수 있다? 카메라는 사람의 눈을 본따 만들어 졌다. 수정체 역할을 하는 렌즈를 통해 빛이 들어오면 망막의 역할을 하는 센서에서 이를 픽셀화해 이미지를 재생해낸다. 그러나 이는 정상적인 물체에 한해서다. 유령 이미지(ghost image)의 경우 그것이 불가능하다. 영상 분야에서 유령 이미지는 ‘형체는 보이지만, 어느 것도 온전한 것이 없는 트릿하면서도 종잡을 수 없는 특수한 이미지’를 말한다. 카메라로 이런 이미지를 찍기 위해서는 극도로 예민한 렌즈, 센서 등을 장착해야 한다. 그동안 스코틀랜드 헤리어트 와트 대학의 물리학자 다니엘 파치오(Daniele Faccio) 교수 연구팀은 이 유령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개발해왔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10-17 설탕으로 인한 암 원인은 ‘이스트’ 많은 암세포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설탕을 지목하고 있다. 그러나 추정일 뿐이다. 정확히 어떤 과정을 거쳐 암을 일으키는지 밝혀내지 못하고 있었다. 이 의문을 벨기에 뢰번 가톨릭 대학교(KU leuven)가 9년 동안의 연구를 거쳐 밝혀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08-10 “인공지능 음악, 타이밍·폭발력 지녀” 구글은 지난해 ‘마젠타 프로젝트(magenta.tensorflow.org)’를 시작했다. 인공지능을 통해 예술 창작 학습 알고리듬을 설계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지금 클래식 음악을 작곡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고 있는 중이다. 마젠타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더글러스 에크(Douglas Eck)는 9일 ‘사이언스’ 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예술작품 창작이 가능한 인공지능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해 언급했다. ‘사이언스’ 지는 이 인터뷰가 간결·명료하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환경·에너지 이강봉 객원기자 2016-11-17 기후변화로 생태계 82% 타격 유전자에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은 생물의 크기가 달라지고, 이전과 다른 여러 가지 유형의 생리적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쉐퍼즈 박사는 "생태계가 강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생태계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리버풀 대학은 15년에 걸쳐 지구 곳곳에 살고 있는 식물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 자료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식물들이 유전자 변이를 통해 높은 온도에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6-10-10 미래 식량은 '식물성 고기'가 주도 유엔 경제사회국(UN DESA)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세계 인구는 약 73억 명이며 2030년에는 85억 명, 2050년에는 96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 인구가 크게 증가해 세계 인구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이처럼 늘어나고 있는 인구를 먹여 살릴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스타 경영자인 엘론 머스크(Elon Musk)는 새로운 종자와 비료 개발, 식량 증산을 위한 나노기술 연구, 심지어 다른 행성에서 식량을 생산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구글 창업자이면서 알파벳 CEO인 에릭 슈미트(Eric Schmidt)는 지난 3월 열린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식물성 육류(Plant-based meat) 개발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6-08-11 도구를 사용하는 까마귀 ‘베티’ 10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베티의 솜씨에 놀란 과학자들은 베티가 태어난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왔다. 가장 큰 관심을 기울인 과학자는 영국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의 행동생태학자인 크리스천 러츠(Christian Rutz) 교수였다. 그의 연구팀은 4년 동안 칼레도니아 제도에 머물며 생포한 18마리의 까마귀를 큰 새장 안에서 관찰했다. 이들 야생 까마귀들이 베티처럼 먹이를 잡기위한 도구를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실제로 까마귀들은 잔가지를 부리로 다듬어가면서 한쪽 끝이 작은 낚시 바늘 같은 철사 같은 연장을 만들고 있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나는 ‘모방 고양이’~”, 표정을 따라 해 상호작용 한다냥 뇌 노화를 늦출 수 있을까? 산호초 복원, 가장 자연적인 자연을 위한 솔루션 새로운 독감 백신, H5N1 조류 독감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다 온난화에 살판난 쥐떼…세계 대도시 곳곳서 폭발적 증가 경찰, 90억 투입해 딥페이크·가짜뉴스 판별 시스템 만든다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왕복하는 배터리 전극 개발" AI로 성능 높인 전기추력기 개발…누리호 위성에 실려 우주로 '호두까기증후군' 아시나요…원인 모를 '혈뇨' 때 의심해봐야 기억 형성과 회상의 상관관계는…뇌 해마로 밝혔다 속보 뉴스 "북극 동토 녹으면 농작물 위협하는 세균 깨어나" 2030 남성 2명 중 1명꼴 비만…약 30%는 당뇨·고혈압 전단계 농진청 "수확량 많고 병에 강한 참깨 '영웅' 심어 보세요" 제주산 감자 아프리카 나미비아 보급…재배 성공 "불꽃축제는 미세먼지 폭탄…대기질 최대 36배 나빠져" '호두까기증후군' 아시나요…원인 모를 '혈뇨' 때 의심해봐야 GIST, 복합 항암제 예측 모델 개발…"정밀 항암치료 가능"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