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에 대한 검색 결과 총 5 건 환경·에너지 김현정 리포터 2023-08-22 인어공주의 노래가 물고기 ‘방귀소리’ ? 바다 속은 해양생물들이 내는 소리, 지구의 진동이 전달돼 나는 소리, 수면 밖 소음이 수중으로 굴절돼 발생한 소음 등 다양한 소리들로 가득하다. 해양생물들이 각각 의사소통을 위해 소리를 내는 방법은 무엇일까?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3-04-21 원소가 부른 음악 들어보실래요? 우리는 원소를 눈으로 보고 맛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원소의 소리는 들을 수 없었다. 원소의 소리를 들려주는 기술이 개발됐다. 금색, 은색, 구리색 등 우리는 원소의 색을 눈으로 본다. 소금(NaCl‧염화소듐) 맛처럼 혀끝으로 원소의 맛도 느낄 수 있다. 그렇다면 귀로 원소의 소리를 들을 수는 없을까. 화학자이자 음악가인 워커 스미스 미국 인디애나대 연구원은 원소의 특징을 고유한 소리로 형상화하고, 음악 주기율표를 완성해 2023년 3월 26일 열린 미국화학회(ACS) 봄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김현정 리포터 2022-09-26 ‘낮말’도 ‘밤말’도 듣는 우리의 뇌 사람의 뇌는 낮말도 밤말도 항상 듣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잠자는 뇌의 청각반응을 관찰한 결과 사람의 뇌는 각성 중일 때나 수면 중일 때 모두 소리를 듣는다. 그리고 거의 유사한 방식과 강도로 소리정보를 처리한다. 수면은 환경자극에 대한 이탈과 외부 자극에 대한 행동 반응성의 가역적, 항상성 조절 상태로 정의된다. 때문에 외부 감각 자극에 대한 높음 각성 임계값은 수면을 정의하는 주요 기준이기도 하다. 실제로 사람들은 잠을 자면서 외부 세계와 단절된 느낌을 받는다. 수면 중 감각자극이 행동반응이나 의식적인 인식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 이유다. 간혹 렘수면 상태에서 인식하고 잠에서 깬 후 이를 가볍게 기억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자극이 반응으로 즉각 전이되지는 않는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05-16 목소리도 문서처럼 편집할 수 있다 소리를 문서처럼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16일 ‘사이언스 데일리’에 따르면 프린스턴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보코(VoCo)'란 소프트웨어는 문서를 교정하듯이 녹음된 사람의 발언 내용을 고쳐나가면서 내용을 보완해나갈 수 있다. 컴퓨터공학과 아담 핑클스타인(Adam Finkelstein) 교수는 “‘보코’를 활용할 경우 어떤 내용의 소리이든지 다양한 음질로 합성하는 것은 물론 자동으로 교정해나갈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듬의 실용적 기술”이라고 말했다. 세계적으로 소리를 교정할 수 있는 편집 기술이 개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기술 개발에는 프린스턴대학 외에도 아도비 어도비 리서치(Adobe Research)의 연구진이 공동 참여했다. 연구자금은 벤처펀드사인 ‘프로젝트 X 펀드’에서 담당했다. 김연희 객원기자 2011-11-04 과학과 음악의 만남 '심포닉 사이언스' 악기소리는 음높이가 똑같은데 느낌이나 소리의 색깔이 왜 다른지도 설명해줬다. 세상의 소리는 한 가지의 주파수로만 이루어진 순음(Pure tone)과 이런 순음들이 섞여있는 복합음(Complex Tone)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음인 경우 인위적인 방법으로 소리를 만들어 내지 않으면 들을 수 없는 소리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30th BIFF 특집] 꿈 잃은 세상에서 ‘기억’을 되찾다 합격률 높이는 면접 타이밍은? 바로 정오 샤가스병이 도대체 뭐길래? 미국 내 풍토병으로 분류되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AI 해커 vs AI 수비수, 사이버 전쟁이 시작됐다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자폐 환자의 과도한 공포·불안 이유 찾았다…뇌 회로 규명 국가 AI전략위 분과위 구성 완료…고삼석 등 52명 추가 위촉 속보 뉴스 한국과학기술미디어센터 개소…과학언론 허브 출범(종합) 인하대 연구팀 "전기차 충전시간 단축하며 안전성 개선" 속살까지 확인…농진청, '초분광'으로 사과 품질 신속 판별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AI로 파킨슨병 조기 진단하고 뇌세포에 빛 쪼여 치료한다 국산 소자·부품 우주검증위성 1호 제작…11월 누리호로 발사 "양자컴은 지금도 유용하다"…KIST, 하이브리드 해법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