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4-03-26

얼굴변형시증 환자에게 비친 얼굴 보니…“악마처럼 왜곡돼보여” 美 연구팀 "얼굴 왜곡 정확히 시각화한 첫 사례…정신과적 장애와는 달라"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얼굴 특징이 왜곡돼 보이는 드문 질환인 얼굴변형시증(PMO : prosopometamorphopsia) 환자 눈에는 다른 사람 얼굴이 어떻게 보일까? 얼굴변형시증 환자 눈에 비친 다른 사람 얼굴을 시각화한 결과 얼굴이 악마처럼 왜곡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인식장애 환자 눈에 비친 남성(위)과 여성의 실제 얼굴과 왜곡된 얼굴 ⓒLancet/A. Mello et al. 제공

미국 다트머스대 브래드 듀체인 교수팀은 22일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서 얼굴변형시증 있는 58세 남성이 경험하고 있는 얼굴 왜곡을 컴퓨터를 이용해 정확하게 시각화한 첫 연구를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얼굴변형시증(prosopometamorphopsia)의 '프로소포'(prosopo)는 얼굴을 뜻하는 그리스어 '프로소폰'(prosopon)에서 유래했고, '메타모르포시아'(metamorphosia)는 물체 형태가 찌그러져 보이는 시력장애를 뜻한다. 구체적인 증상은 사례마다 다르고 얼굴 특징의 모양, 크기, 색상, 위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며칠, 몇 주, 심지어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화면이나 종이로 볼 때는 얼굴이 왜곡 없이 보이지만 직접 볼 때는 왜곡돼 보이는 특이한 증상의 남성 PMO 환자를 대상으로 왜곡 현상의 실체를 파악하는 실험을 했다. 이 환자는 31개월 전부터 사람 얼굴이 '악마처럼' 일그러져 보이는 증상을 호소했다. 만나는 사람들 얼굴의 이마, 뺨, 턱에 깊은 홈이 패고 얼굴 특징이 심하게 늘어나는 왜곡 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집이나 자동차 같은 물체는 화면이나 종이 속 얼굴처럼 왜곡돼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먼저 사람의 얼굴 사진을 찍어 이 환자에게 컴퓨터 화면으로 보여주면서 같은 사람의 실제 얼굴을 보도록 했다. 동시에 환자가 인지한 왜곡에 맞게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사진을 수정하면서 화면 속 얼굴과 실제 얼굴이 무엇이 다른지 환자로부터 실시간 피드백을 받았다. 그 결과 이 남성에게는 남성과 여성 얼굴이 모두 크게 왜곡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환자는 남자와 여자의 얼굴을 입이 영화 배트맨에 등장하는 악당 '조커'처럼 귀밑까지 이어져 있고 눈도 옆으로 길게 찢어져 있으며, 이마와 뺨에 깊은 주름이 있는 모습으로 묘사했다.

논문 제1 저자인 안토니오 멜로 연구원(박사과정)은 "보통 PMO 환자는 대체로 모든 것이 왜곡돼 보이기 때문에 자신이 보는 것이 실제와 얼마나 다르게 왜곡된 것인지 알 수 없다"며 "하지만 이 환자는 화면에서 왜곡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왜곡된 얼굴이 실제 얼굴과 얼마나 다른지 정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듀체인 교수는 "PMO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얼굴 인식 문제를 정신과 의사로부터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고 향정신성 약을 먹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PMO 환자들이 얼굴 인식 문제를 다른 사람들이 정신과적 장애로 생각할 것을 우려해 말하지 못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고 지적했다.

◆ 출처 : The Lancet, Antônio Mello et al., 'Visualising facial distortions in prosopometamorphopsia',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24)00136-3/fulltext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03-26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