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환경·에너지
심재율 객원기자
2020-03-20

회 먹을 때 나오는 고래회충 283배 늘어나 40년 간 나온 논문 전부 분석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아마도 회를 먹을 때 혹시 고래회충(anisakis)이 꿈틀대지는 않는지 좀 더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지난 40년 동안 고래회충이 무려 283배나 늘어났기 때문이다.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연구팀은 날 해산물이나 덜 익은 해산물을 먹을 때 섭취할 수 있는 고래회충이 엄청나게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1970년대 이후 생선에서 나오는 고래회충은 무려 283배나 폭증했다.

이러한 증가는 인간과 해양 포유류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람이나 해양 포유류가 무심코 이 기생충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어에서 발견된 고래회충 ⓒ 위키미디아

과학자들은 고래회충이 전 세계적으로 어떻게 시간이 지나면서 개체숫자가 변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수천 개의 논문을 결합해서 연구했다. 논문들을 조사한 첫 번째 연구 결과인 이번 논문은 '글로벌 체인지 생물학'(Global Change Biology) 저널에 실렸다.

고래회충 먹으면 식중독과 유사한 증상 나타나

"이 연구는 거의 40년에 걸친 세계적인 변화를 보여준다"라고 교신저자인 워싱턴 대학의 첼시 우드(Chelsea Wood) 교수가 말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인간과 해양 포유류 모두에게 위험한 고래회충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보여 주기 때문에 흥미롭다.

고래회충은 다양한 해양 물고기와 오징어 종에서 발견된다. 사람들이 살아있는 고래회충을 먹으면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 식중독과 비슷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대부분은 고래회충은 며칠 후에 죽고 증상은 사라진다. 사람들이 단지 식중독에 걸린 나쁜 경우를 겪었을 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병은 거의 진단되지 않는다고 우드 교수는 설명했다.

고래회충은 해양 포유류 장에서 번식하며 대변을 통해 바다로 방출된다. 고래회충이 물에서 부화한 후, 그들은 먼저 크릴새우와 같은 작은 갑각류를 감염시킨다. 작은 물고기가 감염된 갑각류를 먹을 때, 고래회충은 물고기로 옮겨가고, 이어 더 큰 물고기가 감염된 물고기를 먹을 때 계속 기생하게 된다. 사람과 해양 포유류는 고래회충이 들어 있는 물고기를 먹으면 감염될 수 있다.

고래유충 순환도 ⓒ 워싱턴 대학

그러나 해산물 가공업체와 초밥 요리사들은 식료품점, 해산물 시장, 초밥집 등에서 생선을 내놓기 전에 고래회충을 발견해서 제거한다. 고래회충은 길이가 2cm까지 될 수도 있어서 발견하기 쉽다.

이번 분석을 위해, 논문 저자들은 고래회충이 언급된 모든 문헌을 뒤졌다. 온라인으로 출판된 모든 논문을 검색해서 고래회충뿐 아니라 또 다른 기생충인 물개회충(Pseudoterranova)을 조사했다. 1978년에서 2015년까지의 연구 기간 동안 고래회충은 283배 증가했지만, 물개회충은 많이 늘어나지 않았다.

이 해양 기생충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낮지만, 과학자들은 고래회충이 돌고래, 고래, 바다표범과 같은 해양 포유동물들에게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고래회충은 실제로 해양포유류 장에서 번식하며 해양 포유류의 배설물을 통해 바다로 방출된다.

과학자들은 해양 포유류에 이 기생충이 미치는 생리적 영향을 아직 알지 못한다. 다만 이 기생충은 수년 동안 해양 포유류의 몸에서 살 수 있으므로, 이것이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드는 말했다.

우드 교수는 "이번 연구의 중요한 의미는 해양 포유류의 건강에 대한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이제 알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해양 포유류 개체 수가 회복되지 못하는 것은 기생충이 원인일 수도 있다.

청어에서 발견된 고래회충 유충 ⓒ 위키피디아

저자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무엇이 고래회충의 엄청난 증가를 불러왔는지 확신하지 못한다. 그러나 기후 변화, 더 많은 영양분의 유입, 같은 기간 동안 해양 포유류 개체 수의 증가가 모두 잠재적인 이유일 수 있다.

해양포유류 늘어 고래회충도 증가했을까?

해양 포유류는 1972년부터 해양 포유류 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바다표범, 바다사자, 고래, 돌고래 등의 많은 개체 수가 자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고래회충의 엄청난 증가를 불러왔을지 모른다. 왜냐하면 고래회충은 해양 포유류 안에서 번식하기 때문이다.

우드 교수는 이것이 가장 그럴듯한 가설이라고 말했다.

그러니까 기생충의 증가는 사실 생태계가 잘되고 있다는 신호이므로 좋은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만약 해양 포유류가 해양 보호법에 의해 개체숫자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고래회충이 혜택을 받는다면, 고래회충에 조금 더 취약한 해양 포유류가 감염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정기적으로 생선회를 먹는 우드 교수는 고래회충을 걱정하는 생선회 소비자들에게 '먹기 전에 회 조각을 반으로 자르고 찾아보기'를 권한다.

심재율 객원기자
저작권자 2020-03-20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