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정보통신기술
유성민 IT칼럼니스트
2018-05-28

사회적 관점 녹아든 스마트 시티 필요 기술 빈부 격차 야기할 수도 있어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오래 시간 동안 도시의 모습은 끊임없이 변해왔다. 이러한 도시 모습 변화에는 기술 발달이 항상 동반해왔다. 기술을 도시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도 있었지만, 기술 혁신이 사람의 삶 속으로 스며들면서 자연스럽게 도시 모습을 변화하게 했다.

필자는 1차 산업혁명부터 4차 산업혁명까지의 도시 모습을 분석한 적이 있다. 이를 통해 도시의 모습이 기술로 인해 변화해온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산업혁명에 따른 도시 모습을 살펴보면, 1차 산업혁명은 다리, 터널 등 교통 기반시설을 갖춘 도시가 등장한 시기이다.

1차 산업혁명은 열에너지가 등장하면서 인력이 기계로 대체되기 시작한 시기로, 열차와 같은 증기기관차도 함께 등장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도시에서 교통 기반시설을 갖추는 작업이 한창 진행됐었다.

1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시 모습 ⓒ 위키미디어
1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시 모습 ⓒ 위키미디어

2차 산업혁명은 전기가 등장한 시기로 대량 생산의 시초가 된다. 이 때 컨베이어 벨트가 공장 내에 도입됐기 때문인데, 덕분에 공장의 생산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됐다.

자본가는 경쟁성을 갖추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를 갖춘 공장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도시 내에는 수많은 공장이 생겨났다. 따라서 2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공장이 들어선 도시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아울러 ‘스모그(Smog)’라는 현상이 도시 내에서 발생하기 시작했는데, 공장에서 나온 매연과 안개가 합쳐져서 생긴 현상을 일컫는다. 스모그 때문에 수많은 사람이 호흡기 질환을 앓기도 했다.

3차 산업혁명은 ‘인터넷’이 등장한 시기이다. 1969년 미국 국방성이 4개의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사설 네트워크 연결 과제를 시초로, 전 세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단계로 발전하면서 지금의 인터넷이 등장했다.

3차 산업혁명의 도시 모습은 인터넷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참고로 이러한 도시를 유시티 (U-City)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시티는 ‘유비쿼터스 시티(Ubiquitous City)’의 줄임말로, 여기서 유비쿼터스는 ‘어디에나 존재하는’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시티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시민들에게 인터넷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도시’로 정의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인한 ‘지능화’가 일어나고 있는 시기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의 도시는 AI를 갖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도시를 ‘스마트 시티’라고 부른다.

스마트 시티 거주자는 AI가 제공하는 지능형 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가령 AI가 사용자에게 가정 내 전력 절감을 위한 추천 서비스라든지 자율주행과 같은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ES 2018에서 선보인 ‘삼성시티’ 전시회 모습 ⓒ 삼성전자
CES 2018에서 선보인 ‘삼성시티’ 전시회 모습 ⓒ 삼성전자

스마트 시티의 이러한 모습을 세계 최대 전자 박람회인 CES 2018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 열린 CES 전시회 주제는 “스마트 시티의 미래 (The Future of Smart Cities)”이었는데, 이에 맞춰 도시 내 AI 기반 서비스를 선보인 것이다.

스마트 시티에도 기술 빈부의 격차 문제가 있어    

스마트 시티로 사람의 삶을 더욱더 편리하게 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그런데 문제점은 없는 것일까? 가령 스마트 시티에서도 AI처럼 기술 빈부의 문제가 없는 것일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예상되는 문제점 중 하나가 바로 ‘기술 빈부의 격차’이다. 다시 말해 AI가 사회적 불평등을 더욱더 일으킬 것이라는 말이다.

이러한 전망은 AI 서비스가 보편화 되지 못하고 일부 계층에만 몰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 나온 것이다.

카네기멜론대학 교수 ‘톰 미첼 (Tom Mitchell)’은 AI로 인해서 더욱더 가난해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더욱더 부를 얻는 사람도 있다고 주장했다.

스마트 시티 역시 AI 같은 문제점이 없다고 장담할 수 없다. 스마트 시티로 혜택을 받는 사람이 일부일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이러한 현상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유엔에 의해 설립된 ‘G3ict’는 ‘모두를 위한 스마트 시티 (Smart Cities for All)’이라는 연구 보고서를 2016년에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250명 전문가 중 44%만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시티 과제가 기술 접근성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스마트 시티의 서비스가 공평성 있는 보편화 관점에서 추진되고 있지 못함을 보여준다.

기술적 관점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점도 고려해야    

스마트 시티 추진으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 빈부 격차의 요인으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개발 균등 문제이다. 자원은 한정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지역에 동등하게 스마트 시티 인프라를 구축할 수 없다. 이는 결국 혜택을 받은 자와 받지 못하는 자로 나누기 때문에 기술 빈부 격차를 심화시킨다.

작년 6월 로이터 (Reuter) 통신은 인도의 스마트 시티 과제 추진을 강하게 비난했다. 인도 총리 나렌다 모디 (Narenda Modi)는 2020년까지 100여 곳에 스마트 시티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프라의 구축이 부유 지역에만 한정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는 결국 지역 간의 양극화 현상을 더욱더 심하게 한다.

고층 빌딩 위치한 인도 뭄바이의 슬럼가 모습 ⓒ Flickr
고층 빌딩 위치한 인도 뭄바이의 슬럼가 모습 ⓒ Flickr

둘째 기술 학습 요인이 격차를 더욱더 심하게 할 전망이다.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데, 이를 따라잡지 못할 사람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요인은 스마트 시티 서비스 제공에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시민이 생기게 한다.

‘코딩’을 예로 들어보자. 가까운 미래에는 코딩이 기초가 되는 사회가 도래할 전망이다. 언어처럼 코딩을 못 하면 문맹이 되는 시대가 올 수 있다. 결국, 코딩을 못 하는 사람은 기술적 혜택으로부터 소외될 가능성이 클 수 있다.

셋째 ‘AI의 양면성’ 요인을 들 수 있다. AI는 사람의 업무를 대신해주기 때문에 편리하다. 그런데 이는 누군가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AI로 일자리를 잃는 사람과 혜택을 얻는 사람 간에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스마트 시티에도 그대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도시 내에 AI 서비스로 인해서 불이익을 보는 사람과 이익을 보는 사람 간에 격차가 생기게 된다.

영국 뉴캐슬 대학 교수 ‘로버트 홀란드 (Rbert Holland)’는 스마트 시티를 단순히 기술이 적용된 도시가 아닌 사람과 함께 어우러진 도시로 정의했다. 스마트 시티를 기술과 함께 사회적인 관점도 고려한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스마트 시티는 AI를 갖춘 도시이다. 기술적인 관점에서만 보면 그렇다. 그런데 좀 더 한발 더 나아가서, 사회적인 관점으로 스마트 시티를 들여다봐야 한다. 현재 직면한 도시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도시 내 모든 시민에게 혜택을 주어 시민과 어우르는 스마트 시티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유성민 IT칼럼니스트
저작권자 2018-05-28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발행인 : 조율래 / 편집인 : 김길태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길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