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4-09-12

폐플라스틱 기름으로 플라스틱 원료 만든다…“수율 향상” 화학연, 파일럿 규모 촉매·반응기 개발…2030년 실증 목표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한국화학연구원 김도경·박용기 박사 연구팀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 플라스틱 원료인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등 경질 올레핀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고온에서 분해해 얻는 재생유이다. 최근 온실가스 저감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폐플라스틱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환경부는 2022년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폐기물 재활용 유형에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추가했고, 산업통상자원부도 7월부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석유화학공정 원료로 허용하기로 했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나프타 분해 공정의 원료인 나프타 대신 투입해 경질 올레핀을 만들 수 있어 독일 바스프, 사우디아라비아 사빅 등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국내 기업에서도 상업화를 시도 중이지만,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열분해유에 다량 포함된 올레핀과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수소를 사용하는 수소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850도 이상 고온에서만 반응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앞서 개발한 순환 유동층 반응기 기반 나프타 촉매 분해 기술을 발전시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분해에 특화된 촉매를 개발했다.

플라스틱 열분해유 촉매 분해 기술의 장점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순환 유동층 반응기를 통해 촉매 표면에 생기는 찌꺼기를 지속해 제거함으로써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범 실증시설(파일럿 플랜트) 규모의 촉매와 반응기는 기존 나프타 분해 공정보다 170도 낮은 680도에서도 반응할 수 있다. 경질 올레핀 수율도 44.1%로, 기존 나프타 공정(34.6%)보다 높게 나타났다.

김도경 책임연구원은 "실제 생활계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해 만든 열분해유를 원료로 사용해 파일럿 규모에서 24시간 연속 운전을 검증했다"며 "2030년 실증을 목표로 촉매 공정 규모를 키워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 화학회 지속 가능한 화학 및 엔지니어링'(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 지난달 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09-12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