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인 챗GPT로부터 학습 독려 피드백을 받은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참여도가 실제로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정윤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은 19일 '챗GPT를 활용한 맞춤형 피드백의 실제와 과제'라는 보고서에서 "챗GPT가 제공한 맞춤형 피드백이 온라인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경기도 소재 방송통신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3명에게 챗GPT로 생성한 서면 통지표, SMS 문자 메시지 등을 4주 동안 총 6차례 제공하는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피드백은 제공 시기에 따라 개별 학습자의 진도율을 고려해 각기 다른 내용으로 생성됐다.
아울러 학생들은 피드백에 의해 자신이 세운 학습 계획을 스스로 점검하고 실천하는 방향으로 자극받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은 학생 개별 맞춤형 피드백을 작성하기 위해 챗GPT를 활용해 편리했고, 교수학습 업무가 경감됐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교사들은 또 방송통신고뿐 아니라 일반 고등학교에서도 일정 관리, 중요 학습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챗GPT 기반 피드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부연구위원은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챗GPT를 활용한 맞춤형 피드백 적용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생성형 AI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허구적 내용을 담은 피드백이 생성될 수 있다는 데 주의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에서 피드백의 최종 검토 작업을 교사가 수행했던 것처럼 AI 기술의 한계를 보완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해 더 나은 교육활동을 할 교사의 역할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3-07-20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