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가 간경변, 심혈관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인 간 섬유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육의 양보다는 '질'에 신경 써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비알코올지방간 환자 코호트 구축' 과제를 연구하는 서울대 김원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내용의 결과를 소화기내과 분야 국제학술지 '소화약리학 및 치료학'(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인터넷판에 게재했다고 21일 밝혔다.
대한간학회가 2021년 발표한 비알코올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은 국내 유병률이 20~30%, 발생률이 인구 1천명당 연간 45명에 달해 사회·경제적 손실이 크다.
연구팀은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 292명을 근육질에 따른 근육량(복부 CT로 평가)을 기준으로 4개 군으로 분류해 41개월(중앙값) 동안 간 섬유화 진행 정도를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간 섬유화가 진행될 위험도는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이 가장 많은 환자군이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이 가장 적은 환자군보다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이란 근육 내 지방이 쌓여 근육 지방화가 된 경우를 말한다.
근육에 지방이 거의 없는 건강한 근육량과 전체 근육량의 경우 간 섬유화 진행 위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들에서 근육의 질이 간 섬유화 진행 여부 결정에 매우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직접 확인했고, 간 섬유화 진행에 민감한 환자들을 조기에 예측하고 진단할 수 있음을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가 간 섬유화 진행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식단 조절과 함께 유산소와 근력운동을 병행해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며 "비알코올지방간질환단계에서 사전에 심혈관질환 합병증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3-06-2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