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3-05-30

'슈퍼 박테리아' 잡을 새로운 항생제, AI로 찾았다 AI에 약물구조 학습시켜 실험대상 6천680→240종 추려, 미·캐나다 연구진 "임상시험 거쳐 2030년께 AI 항생제 나올 것"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대상이 된 슈퍼 박테리아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critical) 위협'으로 규정한 박테리아다.

이후 AI는 학습한 정보를 바탕으로 효과가 알려지지 않은 화합물 6천680종 가운데 실험실로 가져갈 후보군 수백개를 1시간 반 만에 추려냈다.

연구진은 그중 240종을 대상으로 시험을 거쳐 잠재적 항생제를 9종으로 좁혔고, 그중 하나가 바로 새로운 항생제인 '아바우신'(abaucin)이다.

아바우신은 실험용 생쥐의 감염된 상처를 치료했으며 환자로부터 채취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표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항생제는 바우마니 외에 다른 박테리아에는 효과가 없다는 특징도 있는데, 이는 내성 발생 가능성과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다.

연구진은 아바우신에 대한 임상시험 등을 거치고 나면 2030년께 첫 번째 'AI 항생제'가 탄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MIT 교수 제임스 콜린스는 "이번 발견은 새로운 항생제 추적을 가속화하고 확장하는 데 AI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추가로 입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을 대상으로도 AI 항생제 연구를 이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3-05-30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