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정인경 교수 연구팀은 파킨슨병 발병 뇌 조직 단일세포의 3차원 후성유전체(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는 DNA) 지도(게놈지도)를 작성했다고 8일 밝혔다.
게놈지도는 유전자 정보를 자세하게 밝힌 지도를 뜻하는데,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656개의 파킨슨병 연관 신규 유전자들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노화연구소 엘리에자 매슬리아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신경세포뿐만 아니라 뇌 환경 유지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교세포(희소돌기아교세포·미세아교세포 등)의 후성유전적(환경이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변화들이 파킨슨병 발병에 관여하는 것을 밝혀냈다.
비정상적인 후성유전학적 특징들은 파킨슨병의 원인·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정인경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암·당뇨 등 다양한 복합유전질환 규명에 중요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달 14일 게재됐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3-05-1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