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신경염증을 억제하고 뇌손상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을 개발했다.
나아가 화합물의 표적이 되는 단백질도 밝혀내 차세대 뇌질환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를 제공했다.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와 석경호 경북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뇌에 존재하는 소교세포에 작용하는 신경염증 억제물질(ICM)을 발견하고 이 화합물이 염증유도 단백질(HMGB)을 억제하는 것을 알아냈다.
특정 질환이나 증상에 대해 효과를 보이는 화합물을 개발하더라도 어떤 단백질에 작용하는지 표적을 정확히 밝히지 못하면 신약으로 개발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화합물이 염증유도 단백질에 작용한다는 것을 정확히 알아내 향후 신경염증 및 퇴행성 뇌질환 기전연구와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빛에 반응하는 물질을 신경염증 억제물질에 부착, 세포에 처리한 뒤 신경염증 억제물질이 결합하는 표적단백질이 형광으로 표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염증유도 단백질을 찾아냈다.
실제 뇌염증을 유도한 쥐에게 이 화합물을 투여하자 염증에 의한 뇌손상이 회복됐고 마비증상 역시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염증 억제물질을 투여함에 따라 뇌척수액과 혈청에서 염증유도 단백질(HMGB)의 농도가 낮아진 것도 확인했다.
박 교수는 "신경염증 억제물질의 효과 증진 연구를 지속하면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비롯해 다양한 염증성 뇌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및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적연구),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유전자동의보감),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화학생물학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 온라인판 10월 12일자에 게재됐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4-10-1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