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첫 H5N1 조류독감 사망자 발생
미국에서 H5N1 조류독감으로 인한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미국 보건당국은 일반 대중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조용한 대유행'의 전조가 될 수 있다며 예의주시하고 있다.
루이지애나주에서 발생한 첫 사망자는 65세 이상의 고위험군이었으며, 기저질환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루이지애나 보건부에 따르면, 해당 환자는 자택에서 기르던 가금류와 야생조류에 노출되어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2월 18일 입원한 이 환자는 미국 루이지애나주의 유일한 확진자였으며, 미국 전체에서도 유일하게 중증으로 입원한 사례였다.
참고로 현재까지 미국 내 H5N1 감염자는 총 66명으로, 첫 사례는 2024년 4월에 보고됐다. 현재까지 사람 간 전파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감염이 동물 접촉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과거 아시아 지역의 발병 양상과는 매우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해당 사례는 1997년 홍콩에서 발생한 첫 인체 감염 사례 이후 미국에서 확인된 첫 사망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H5N1의 실제 위험성은? 변이 가능성에 대한 우려
H5N1은 1997년 홍콩에서 18명의 첫 인체 감염 사례가 발생해 6명이 사망하며 대중에 알려졌다. 이후 2003년부터 2004년까지는 아시아 8개국으로 확산되어 대규모 가금류 살처분이 이뤄졌다. 2003년부터 2024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900명의 감염자가 보고되었는데, 특히 2005년에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 가족 간 전파 사례가 확인되었고, 2014년부터 2015년에는 북미 지역에서 첫 대규모 가금류 감염이 발생했다. 2022년에 이르러서는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변이주가 출현하며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확인되는 H5N1은 이전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의 특성상 빠른 변이가 가능한데, 특히 최근에는 포유류 감염력이 강화된 변이가 출현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조류에만 감염됐으나, 최근에는 물개, 밍크, 여우 등 다양한 포유류 감염이 보고되고 있어 숙주 범위가 확장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치명률의 변화다. 1998년 이후 24개국에서 보고된 H5N1 사례의 경우 약 50%에 달하던 치명률이 현재 미국에서는 1.5%로 크게 낮아졌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치명률 차이의 원인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아직 인간 간 전파는 제한적이지만 변이 가능성이 존재하며, 기존 계절성 독감 항체로는 방어가 어렵다는 점이 우려된다.
하지만 최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10대 감염 사례는 주목할 만하다. 이 환자는 호흡부전으로 입원했다가 회복됐지만,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았고 유전자 분석 결과 바이러스의 독성 강화와 인체 적응과 관련된 주요 변이가 발견됐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현재 미국 낙농가에서 발견되는 변종의 경우, 단 하나의 유전자 변이만으로도 인체 감염 능력이 강화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이다. 지난 16년간 두 차례의 대유행(2019년 코로나19, 2009년 H1N1 돼지 독감)을 겪은 상황에서, H5N1의 대유행 잠재성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대응 현황과 예방 수칙 공개
현재로서는 인체 감염 위험이 제한적이지만, 변이 가능성과 대유행 잠재성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경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의 경험을 고려하면, H5N1 변이로 인한 중증 질환 발생이나 전파력 증가에 대한 우려는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병들거나 죽은 동물과의 접촉 피하기, 병든 가금류나 야생동물, 그리고 그들의 배설물에 노출될 경우 개인보호장비 착용하기, 감염된 동물이나 배설물과 접촉한 후 철저한 위생 관리하기 등의 예방 수칙을 권고하고 있다.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는 현재 상황에서 일반 대중에 대한 위험은 낮다고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후보 백신"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러한 후보 백신은 광범위한 확산이 발생할 경우 제약사들이 신속하게 대중용 H5N1 백신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해주는 백신들이다. 참고로 최근에는 모더나의 기술을 활용한 후보 백신이 페렛 실험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다.
- 김민재 리포터
- minjae.gaspar.kim@gmail.com
- 저작권자 2025-01-1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