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상승이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미래 심각한 재난을 예고하는 보고서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17일 ‘phys.org’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의 지질학자 개리 그릭스(Gary Griggs) 교수 연구팀은 충격적인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Rising Seas in California'란 제목의 이 논문은 다양한 경우의 온실가스 배출 상황, 남·북극 빙하의 감소율 등 변수를 적용해 오는 2100년 해수면이 어디까지 상승할 것인지 예측 예측 데이터를 산출하고 있다.
실제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67%까지 완화할 경우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리어(Bay Area)의 해수면이 오는 2100년 30.48~73.152cm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해수면은 48.768~103.632cm 더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캘리포니아 해수면 3m 더 높아져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데이터는 최근 온실가스 배출량과 급속히 녹아내리고 있는 빙하의 규모를 감안한 수치다. 특히 남극 대륙 빙하가 빠르게 감소할 경우 오는 2100년이 되면 캘리포니아 해안의 해수면 높이는 304.8cm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세기 인류가 경험한 해수면 상승 속도와 비교해 30~40배 빠른 것이다. 그릭스 교수는 “최근 해수면 상승에 대한 분석·예측 기술이 대폭 정밀해졌으며, 해수면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도 역시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인류가 지금 신속한 행동을 취하지 않을 경우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막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현재 캘리포니아 주 지역 주민 가운데 75%가 해안지역은 해수면 상승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수백 마일(1.609344km) 도로와 철도, 항구와 공항, 발전소, 폐수처리 시설, 해안가 습지, 해수욕장, 모래언덕, 해안가 절벽, 수천 개의 건물, 그리고 수천 채의 민가 등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위험에 처해있다.
이번 보고서는 캘리포니아 주정부, 주 해양보호 위원회(California Ocean Protection Counci), 주 천연자원국(California Natural Resources Agency), 주 에너지 위원회(California Energy Commission) 등의 의뢰를 받아 작성한 것이다.
이 보고서는 오는 26일 캘리포니아 주도 새크라멘트에서 열리는 해양보호위원회를 통해 공식 배포할 계획이다. 이번 보고서는 빨라지는 해수면 상승에 대처해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할 근거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해양보호위원회 젠 에커를(Jenn Eckerle) 부위원장은 “캘리포니아 주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지역의 피해를 막기 위해 포괄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비슷한 상황에 처한 다른 지역의 시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구 곳곳에서 매년 사상최고치 경신
보고서 내용은 크게 일곱 가지로 요약된다. 해수면 상승을 가속화하는 첫 번째 요인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다. 지구 전체적으로 배출량을 줄여야 하는 처지에 놓였지만 배출량 지표는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
해수면 상승의 직접적인 원인은 대륙 빙하가 급속히 녹고 있기 때문이다. 그린랜드와 남극 대륙 빙하, 그리고 지구 도처에 산재해 있는 산악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지구 전체의 해수면 상승률은 사상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심각한 것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지역을 황폐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캘리포니아 지역은 남극의 영향을 받아 해수면 상승 속도가 지구 평균치보다 높다. 평균 1 피트(30.38cm) 상승할 경우 캘리포니아 앞 바다는 1.25피트(3.81cm) 상승한다.
주목할 점은 2050년 이후 해수면 상승률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통제하지 않고 지금과 같은 배출량 증가 상태를 방치할 경우 2050~2100년 기간 동안 해수면 상승률이 지금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최근 상황에 비추어 해수면 상승률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책 당국에서 해안지역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주기를 촉구하고 있다. 단기적인 계획보다는 장기적인 차원의 대처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주문하고 있다.
특히 2050년 이후에는 해수면 상승이 지금보다 더 빨라질 것을 감안, 인명과 자원보호를 위한 보호대책(safeguard)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최근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피해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중국 국가해양국은 2016년 평균 해수면이 전년보다 38㎜ 높아져 198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1980∼2016년 사이 연평균 해수면 상승 폭 3.2㎜의 10배를 웃도는 것이다. 특히 상하이와 저장·푸젠성 해안은 100㎜ 이상 상승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최근 정책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2월 세계 평균 해수면 높이가 1993년 대비 74.8mm(연평균 3.4mm)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금처럼 해수면 상승이 계속되면 2100년에는 1990년 대비 0.75~1.9m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의 경우 2100년 해수면 상승 영향을 받게 되는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약 1300만 명이 피해를 볼 것으로 우려했다. 남태평양의 소국인 키리바시는 2050년쯤 매년 최대 1600만달러(GDP 대비 10%)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 이강봉 객원기자
- aacc409@naver.com
- 저작권자 2017-04-18 ⓒ ScienceTimes
관련기사